아무나 안알려주는 집순이의 꿀팁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8

밑반찬 꽈리고추멸치볶음 황금레시피 멸치볶음 만들기 멸치볶음은 집에서 흔히 먹을 수 있는 밑반찬 종류 중 하나입니다. 고추장 멸치 볶음, 간장 멸치 볶음, 올리고당 멸치 볶음, 견과류 멸치 볶음, 꽈리고추 멸치 볶음 등 재료는 멸치 하나로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그중 꽈리고추가 들어간 멸치 볶음은 입맛을 돋워 주고 특히 잘 어울리는 국 조합이 있는데 잘 어울리는 국과 꽈리고추 멸치볶음만 있으면 질리지 않고 두세 끼 정도는 충분히 해결이 가능하여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식사로 추천해드리는 요리 중 하나입니다. 꽈리고추는 모양이 쭈글쭈글한 풋고추를 이르는 말이며 여름이 제철인 꽈리고추는 손질도 쉽고 영양이 풍부하여 멸치와 함께 볶아 놓으면 감칠맛을 내는 훌륭한 반찬이 됩니다. 꽈리고추는 보통 꼭지만 떼고 흐르는 물에 씻어 몸통 전체를 사용합니다. 꽈리고.. 2022. 11. 5.
전참시 이영자 호박전 만들기 새우호박전 만드는법 애호박이란 덜 자란 어린 호박을 말하며, 다른 호박들 보다 쉽게 구할 수 있는 호박과의 식재료입니다. 둥글게 썰어낸 호박전이 아닌 가늘게 채 썰어낸 애호박전은 다른 부침전들 보다 간단한 재료로 간단하고 쉽게 만들어 낼 수 있는 전입니다. 채 썬 애호박전은 둥근 애호박전과 다르게 양파, 감자, 당근, 청양고추 등 다른 채소도 채 썰어 넣어주면 그 재료에 따라 다양한 맛을 낼 수 있고 밀가루, 튀김가루, 부침가루 감자전분가루, 옥수수 전분가루 등을 넣어 여러 가지 식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호박전 중에서도 애호박전에 건새우를 갈아 넣은 새우 호박전을 만들어보려 합니다. 이번에 전지적 참견 시점 이영자 님께서 만들었던 새우 호박전은 식감을 조금 더 살리기 위해 조선호박의 겉 부분만 사용하였지만 저는 .. 2022. 11. 2.
참치김치찌개 맛있게 끓이는법 참치김치찌개 레시피 황금레시피 김치찌개는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찌개 요리 중 하나입니다. 김치를 주 재료로 하여 만드는 찌개이지만 들어가는 김치의 종류, 부 재료들에 따라서 맛도 천차만별입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참치 통조림으로 맛을 낸 참치찌개를 끓여보려 합니다. 보통 참치살 자체는 저지방 재료이지만 통조림에 들어있는 참치는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 참치와는 다르게 살에 맛을 내기 위해서 식물성 식용유(카놀라유, 콩기름, 올리브유, 해바라기씨유 등)에 살을 절여냈기 때문에 고지방 고칼로리 식품입니다. 보다 자세한 참치 통조림 정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치 통조림의 역사 및 정보 참치 통조림이 처음 개발되었던 시기는 1904년 미국 캘리포니아입니다. 그 당시에는 통조림 중에서도 정어리 통조림이 가장 보편화되어 있었는데 어느.. 2022. 10. 30.
시금치 된장국 끓이는법 시금치 된장국 황금레시피 시금치 된장국은 조개 혹은 마른 멸치나 소고기를 넣고 우린 국물에 된장을 풀고 시금치를 넣어서 끓여낸 국물 요리입니다. 국물은 입맛에 따라 멸치육수만으로 내기도 하고 멸치 다시마, 조개 육수, 소고기 육수 등 다양하게 낼 수 있고 우리나라 밥상에서 오래 걸리지 않고 쉽게 해 먹을 수 있는 국 요리 중 하나입니다. 시금치는 보통 시금치나물 무침, 국 요리에 사용되며 최근에는 다이어트, 웰빙 식품으로 샐러드나 샌드위치에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무침용으로 고를 때에는 길이가 짧고 뿌리가 붉은색을 선명하게 띠는 것을 고르는 것이 좋고, 국거리용은 줄기가 길고 연하며, 잎이 넓은 것이 좋습니다. 시금치의 특징 및 효능 시금치는 아프가니스탄 주변의 중앙아시아, 서남아시아 지역에서 재배되기 시작하여 이란 지방을 중심으.. 2022. 10. 28.
생선조림 양념장 만드는법 굴비조림 황금레시피 생선이란 식용이 가능한 잡은 그대로의 신선한 물고기를 말합니다. 생선은 우리에게 동물성 단백질의 주요 공급원이 됩니다. 생선은 종류에 따라 흰 살 생선과 붉은 살 생선으로 나뉘어 보통 운동성이 적은 심층(사물의 속이나 밑에 있는 깊은 층) 고기에 흰 살 생선이 많고, 활동성이 있는 표층(여러 층으로 된 것의 겉을 이루고 있는 층) 고기에 붉은 살 생선이 많으며 보통 민물(강이나 호수 따위와 같이 염분이 없는 물) 고기는 거의 흰 살 생선입니다. 생선은 육지동물의 살에 비해 자가 소화(생물이 죽거나 파괴되었을 때 구성 물질이 무균 상태에서 단백 분해 효소로 분해되는 현상)가 빨라 부패가 되기 쉽습니다. 하여 생선은 시간이 조금만 지나도 쉽게 상할 수 있기 때문에 손질에 신경을 써주면 보다 보관을 길게 유지.. 2022. 10. 26.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