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할 때 어떤 설탕을 써야 할까요?
오늘은 요리마다 어울리는 설탕
혹은 성분의 차이를 알고 사용할 수 있도록
백설탕, 황설탕, 흑설탕에 대한 상세 설명과
차이점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설탕 총정리

정제당(백설탕, 황설탕, 흑설탕)
설탕 제조 과정 중 가장 첫 번째로 만들어지는 것은 백설탕이며
순도 99.9% 이상의 순수한 성분을 갖고 있습니다.
첫 번째로 생성된 백설탕에
열을 가하면 갈변현상(누렇게 변함)이 일어나는데,
이것이 바로 갈색설탕 즉 황설탕입니다.
황설탕에 캐러멜 시럽 등을 첨가하여 재 결정해서
색이 더욱 짙고 향이 더 나는 것이 흑설탕입니다.
백설탕은 혹시 표백을 했나
더 나쁜 거 아닌가 하는데 사실이 아니며,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설탕이 정제됩니다
영양학자들이 말하기를 설탕은 모두
사탕수수나 사탕무로 만들기 때문에
색상과 상관없이 영양학적 가치는 거의 비슷하다고 설명했고,
색상보다는 정제과정을 따져야 한다고 합니다.
[자료참조_네이버백과사전]
백설탕
White Sugar
설탕을 만드는 제조 과정에서 제일 먼저 만들어지는,
작은 입자의 순도 높은 흰색의 설탕
설탕은 사탕무나 사탕수수를 원료로 하여 만들고
가공하기 이전의 원당은 노르스름한 빛을 띠고 있습니다.
이 원당을 숯 등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건조해서 결정을 만드는 과정에서 활성탄이 원당의 불순물과 색소를 함께 제거해 주기 때문에
노란색의 원당이 흰색이 됩니다.
*활성탄
: 흡착성이 강하고, 대부분의 구성물질이 탄소질로 된 물질,
흡착제로 기체나 습기를 흡수시키거나 또는 탈색제로 사용된다.
목재나 갈탄 등을 염화아연 등의 약품으로 처리, 건조해 제조한다.
이렇게 해서 처음 생산되는 것이
슈크로스(글루코스와 D-프럭토스로 이루어지는 이당류)만 남은,
99% 이상 순수한 백설탕입니다.
백설탕은 광택이 있으나 색상이 없어서
재료의 본연의 맛이나 색상을 살리는
사탕이나 젤리, 과자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거나
식품 및 음료수의 제조 등에 사용됩니다.
황설탕(갈색설탕)
Brown Sugar
황설탕(갈색설탕)은 제조 공정에서 백설탕이 생산된 후
몇 번 더 정제 과정을 거쳐 열이 가해지며
황갈색을 띠게 된 설탕입니다.
제조과정에서 가해진 열로 인해 원당의 맛이 살아나게 되며
색이 진하고 감칠맛이 나서
과자나 빵, 매실청 등 향을 내는 식품에 주로 사용됩니다.
흑설탕
black sugar
흑설탕은 본래 당밀을 분리하지 않은 함밀당으로서
불순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즉 정제 전의 설탕 상태라
무기질과 비타민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만 시중에 많이 판매되고 있는 흑설탕은
정제를 마친 백설탕에 가공 과정을 거쳐서
어두운 색과 맛을 내기 때문에 영양학적으로
설탕은 색상과 크게 상관이 없다고 합니다.
*제조과정을 따져 정제전 흑설탕이라면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여 진한 색상과 독특한 향이 나므로
약과, 양갱, 약식, 수정과등에 이용되거나
과자나 소스, 제과에도 많이 사용됩니다.
흑설탕은 백설탕보다 수분이 많아
밀봉에 유의하고
통풍이 잘되는 서늘한 곳에 보관해주어야 합니다.
최종정리

당도 비교
백설탕이 99.7% > 황설탕은 97% > 흑설탕은 86%
칼로리 비교 (100g 기준)
백설탕 387 lcal > 황설탕 386kcal > 흑설탕 385kcal
크게 차이 없음
오히려 당도가 낮은 황설탕, 흑설탕으로
백설탕만큼의 당도를 내기 위해
더 많이 사용하게 된다면
칼로리는 더욱 높아질 수 있습니다.
즉, 색상에 따라 크게 영약학적으로는 차이가 없으므로
음식에 따라 사용하면 됩니다.
물엿 올리고당 조청 차이점 단맛 비교
음식을 만들 때 사용하는 당류는? 바로 설탕, 물엿, 올리고당, 조청 등이 있는데요 오늘은 그중에서 액상류들을 아주 간단하게 요약, 정리, 비교해서 요리할 때 요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
www.wwgenecs.com
댓글